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안전을 지키는 파이어디펜스 입니다. 😊
전국적으로 대설특보와 한파특보가 발령한 가운데, 체감온도가 영하 15도를 밑돌고 있어 날이 매우 춥습니다. 기온이 낮아 질수록 사무실, 공사장, 공장, 캠핑장 등 실내 난방기기 사용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난방기기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한 난방기기 사용법
1. 전기히터 사용법
① 이동 시 전원 끄기
②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자제하기
③ 1~2시간 사용 후 10분씩 전원 끄기
④ 먼지도 화재 원인! 자주 청소하기
⑤ 가습기 근처에 두지 말기
⑥ 어린이 또는 반려동물 접근 주의하기

2. 전기장판 및 담요 사용법
①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설정하고 잠들기 전 타이머 설정하기
② 고온으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플러그' 뽑기
③ 온도조절기 밟지 않기, 전기장판·담요 접지 말기
④ 소비전력을 확인하고 전선이 과열되지 않도록 주의하기
⑤ 열이 잘 배출되지 않는 라텍스 제품과 함께 사용하거나 이불 등을 겹쳐 놓지 않기

3. 가스보일러 사용법
① 주기적으로 배기통 점검하기
② 보일러 작동 시, 과열·소음·냄새 등 이상 징후 발견했을 때 즉시 전원 끄기
③ 보일러 가동 전, 배기관의 균열, 연결 상태 확인하기
④ 동파 사고 예방을 위해 배관을 보온재로 감싸기
※ 가스중독사고 및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가스누설 경보기 설치는 필수 입니다.

난방기기 화재시 대처 방법
난방기기 화재시 소화기로 신속히 불을 끕니다. 초기 화재 시 올바른 소화기 사용은 소방차 1대의 위력입니다.
- 소화기 사용법 -
①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긴다
(화점에 너무 가까이 두지 않는다)
② 소화기를 바닥에 내려놓은 후 몸통을 잡고 안전핀을 잡아당긴다
(손잡이를 쥐고 안전핀을 당기지 않는다)
③ 한 손은 손잡이를, 한 손은 노즐을 잡고 화점을 향하게 한다
④ 소화가 완전히 될 때까지 약제를 화점을 향하여 골고루 방사한다
(바람을 등지고 빗자루 쓸듯이 소화기를 분사한다)

※ 참고자료
- 대한민국 소방청 공식 블로그
- 광주 뉴스1) 이수민 기자, 이승현 기자 (대설·한파 특보뉴스)
'화재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일러 도시가스 누설(누출) 사고예방 (0) | 2023.04.05 |
---|---|
겨울철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 예방법 (0) | 2023.04.05 |
전기차 충전 시설 안전관리 제도개선 (전기차 화재 예방, 사고 예방) (0) | 2023.04.05 |
소화기의 다양한 종류- (분말, 할로겐화합물, 이산화탄소, 강화액, 주방용k급, 금속 소화기) (0) | 2023.04.05 |
건조주의보 발령시 산불 안전수칙!!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