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하세요, 여러분의 안전을 지키는 파이어디펜스 입니다. 😄
전기차 보급 확대로 전기차 충전시설 폭발과 화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기차 화재에 대비한 설비는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있습니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모두 62건으로 올해 상반기에도 17건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산업통산자원부에서는 전기차 충전시설 안전관리 제도개선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오늘은 산업통산자원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기차 충전시설 화재 예방법과 안전관리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차 충전시설 전주기 (제조-설치-운영)
1. 제조단계
① 충전시설 침수대비 안전장치 설치
- 스탠드형 충전시설은 충전부(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주요 부분)가 침수되기 이전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안전장치 부착(급속충전시설 우선 적용)
* 충전기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까지 침수되면 자동으로 차단기를 트립(OFF) 시켜 전원 차단
② 방진⋅방수에 대한 충전시설 보호성능 강화
- 충전장치 및 부속품 (커넥터, 플러그 등)의 방진‧방수 보호등급(IP code)을 국제표준(IEC)과 동등한 수준으로 보완
*(현행) IPx4 → (개선) IP44 (1mm이상 고체), (현행) 규정없음 → (개선) IP24 (12mm이상 고체)
③ 급속충전 시설의 비상정지 장치 설치
- 급속충전(고전압‧대전류 사용) 시설은 급박한 위험상황에서 사용자 등이 수동으로 시스템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비상정지 장치 설치
2. 설치단계
① 과금형 콘센트 충전시설 시설기준 강화
- 과금형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단자에 유입되는 이물질, 분진 등에 의한 화재(트래킹, 합선)를 방지하기 위한 방적(Drip Proof)형 사용
② 충전케이블 손상방지를 위한 안전기준 강화
- 지면에 방치된 케이블 손상에 따른 사고(누전, 합선)를 예방하기 위해 충전 후에는 케이블을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안전장치 설치
③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전용 소화시설 설치
- 다중이용시설 등에 설치되는 충전시설은 화재 초기단계에서 확산을 막기 위해 소화기 설치(D형 등) 등 소방청 화재안전기준 개정 협의
* 충전기, 접속부에서 화재 발생 시 초기대응을 위한 소화기 및 차량 배터리 등 소화를 위한 D형 금속소화기(배터리 등 화재 소화를 위해 팽창질석, 리튬, 마그네슘 등을 사용한 소화기) 등
3. 운영단계
①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규정 개선
- 전기설비의 실시간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원격감시 및 제어기능을 갖춘 충전시설의 경우 안전관리자 1인이 관리 가능한 충전시설 확대
* (현행) 용량제한 없이 60개소 → (개선) 용량 10MW 이내 60개소, 다만 원격감시 및 제어기능을 구비할 경우 10MW 이내의 용량에서 개소제한 없이 1인이 선임 가능하도록 규제완화
② 전기차 충전시설 정기검사 범위 및 충전시설 관련 교육 확대
- 법정 정기검사 범위를 현행 수전설비(분전반)에서 전기차 충전장치 및 부속품(커넉터, 플러그 등)까지 확대하여 충전시설 종합검사 후 판정
* 충전장치의 정상작동 여부 확인(수동테스트 등), 인터록 시험, 커넥터 파손여부 등
- 전기안전관리자 전문성 제고를 위해 법정교육 과목에 전기차 충전시설 관련 교육도 포함 → 향후 충전사업자(종사자 포함) 등으로 교육대상 확대
③ 전기차 충전시설의 통합적 안전관리를 위한 플랫폼 구축
- 운영정보, 충전상태 뿐만 아니라 안전관련 요소(누전, 과전류, 과전압 등)의 모니터링 등 종합 정보제공이 가능한 양방향 플랫폼 구축

마무리
전기차 충전소에서 발생하는 화재 위험성은 충분히 인지하고, 심각하게 받아들여 예방을 하여야 합니다. 산업통산자원부의 '전기차 충전시설 안전관리 제도개선 방안'을 참고하여 실천 합시다.
전기차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보다 화재 진압이 어렵습니다. 전기차 충전소 안전수칙 준수는 생명을 지킬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 실천 합시다.!!!
'화재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 예방법 (0) | 2023.04.05 |
---|---|
난방 기기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0) | 2023.04.05 |
소화기의 다양한 종류- (분말, 할로겐화합물, 이산화탄소, 강화액, 주방용k급, 금속 소화기) (0) | 2023.04.05 |
건조주의보 발령시 산불 안전수칙!! (0) | 2023.04.05 |
전기시설 화재시 적응성 있는 소화기는?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