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소화기 (CO2)

CO2 소화기
1. 이산화탄소 소화기란?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소화약제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소화기입니다.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화재 시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를 방지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소화성능이 우수합니다. A급, B급,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화재(C급)에 효과적입니다.
- 잔여물이 남지 않아 2차 피해가 없습니다.
- 소화 후 냉각 효과가 있어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설치 장소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기실, 통신실, 발전소 등 전기설비가 있는 장소
- 병원, 연구소, 반도체 공장 등 고가의 장비가 있는 장소
- 주유소, 공장 등 위험물 취급시설
3. 사용 방법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 화재 발생 시 소화기에서 안전핀을 제거합니다.
- 소화기 노즐을 화재 지점으로 향하게 합니다.
- 방사구를 누르고 소화약제를 방사합니다.
- 화재가 완전히 진압될 때까지 방사합니다.
4. 주의 사항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소화약제가 눈이나 호흡기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소화기 노즐을 바라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소화기 사용 후에는 환기를 시킵니다.


<전기실 소화기 비치>

<전산실 소화기비치>
할로겐화합물 소화기 (HCFC-123)

HCFC-123 소화기
1. HCFC-123 소화기란?
HCFC-123 소화기는 소화약제로 HCFC-123을 사용하는 소화기입니다. HCFC-123은 무색, 무취의 액체로, 화재 시 산소와 연료를 차단하여 연소를 방지하는 작용을 합니다. HCFC-123 소화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소화성능이 우수합니다. A급, B급,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화재에 효과적입니다.
- 잔여물이 남지 않아 2차 피해가 없습니다.
- 소화 후 냉각 효과가 있어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오존층 파괴 지수가 낮아 환경 친화적입니다.
2. 설치 장소
HCFC-123 소화기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기실, 통신실, 발전소 등 전기설비가 있는 장소
- 병원, 연구소, 반도체 공장 등 고가의 장비가 있는 장소
- 주유소, 공장 등 위험물 취급시설
3. 사용 방법
HCFC-123 소화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 화재 발생 시 소화기에서 안전핀을 제거합니다.
- 소화기 노즐을 화재 지점으로 향하게 합니다.
- 방사구를 누르고 소화약제를 방사합니다.
- 화재가 완전히 진압될 때까지 방사합니다.
4. 주의 사항
HCFC-123 소화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소화약제가 눈이나 호흡기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소화기 노즐을 바라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소화기 사용 후에는 환기를 시킵니다.


<백화점 소화기비치>

<카페 소화기비치>
마지막
이산화탄소 소화기와 HCFC-123 소화기는 모두 우수한 소화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잔여물이 남지 않아 2차 피해가 없습니다. 따라서, 전기실, 연구소, 반도체 공장 등 고가의 장비가 있는 장소나 위험물 취급시설 등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기를 사용할 때는 안전을 위해 반드시 주의 사항을 지키고, 화재예방을 위해 소화기를 주기적으로 점검합시다.
<<< 소화기 점검방법 >>>

구매 사이트
↓↓↓↓
https://link.coupang.com/a/byry0w
'화재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원인 및 예방법 (차박, 캠핑, 보일러실) (0) | 2023.12.17 |
---|---|
가스사고 및 부탄가스 사고 예방법!! (2) | 2023.12.17 |
2023년 국제소방안전 박람회 후기 (0) | 2023.09.01 |
건설현장 방화포·가스누설경보기 설치 의무화 및 가스보일러 가스누설예방 (0) | 2023.08.27 |
전기시설 및 태양광 발전 설비 화재 원인 및 예방법은? (CO2 소화기, HCFC-123소화기,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2) | 2023.08.25 |